[코틀린, kotlin] if-else 조건문과 when 조건문

오늘은 코틀린에서 조건문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1. if-else문


if-else 문은 가장 기본적인 조건문입니다. 주어진 조건식이 참인지 거짓인지에 따라 다른 블록이 실행됩니다. 일반적인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:
if (조건식) {
    // 조건식이 참일 때 실행되는 코드 블록
} else {
    // 조건식이 거짓일 때 실행되는 코드 블록
}
예를 들어, 사용자의 나이를 검사하여 성인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:
val age = 20

if (age >= 18) {
    println("성인입니다.")
} else {
    println("미성년자입니다.")
}
조건문이 여러개일 때 사용예시를 한번 알아볼까요?
val score = 85

if (score >= 90) {
    println("A 학점")
} else if (score >= 80) {
    println("B 학점")
} else if (score >= 70) {
    println("C 학점")
} else {
    println("F 학점")
}

2. when문


다른 언어에서의 switch-case문이랑 비슷한데요. switch-case문이랑 비슷하게 여러 경우의 값을 처리하는 데 유용합니다. 일반적인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.
val x = 5

when (x) {
    1 -> {
        // x가 1일 때 실행되는 코드 블록
    }
    2 -> {
        // x가 2일 때 실행되는 코드 블록
    }
    else -> {
        // x가 1 또는 2가 아닐 때 실행되는 코드 블록
    }
}
예를들어, 변수 x의 값에 따른 when문 사용 예시를 한번 알아보겠습니다.
val x = 5

when (x) {
    1 -> println("x는 1입니다.")
    2 -> println("x는 2입니다.")
    3, 4 -> println("x는 3 또는 4입니다.")
    else -> println("x는 1, 2, 3, 4 중 하나가 아닙니다.")
}
위의 예제에서는 x 변수의 값에 따라 다른 메시지를 출력하고 있는데요. 쉼표(,)를 사용하여 여러 값들을 하나의 블록에 매칭시킬 수 있습니다. 다음 예시에서는 값이 아니라 범위에 대해서 사용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.
val score = 85

when (score) {
    in 90..100 -> println("A 학점")
    in 80 until 90 -> println("B 학점")
    in 70 until 80 -> println("C 학점")
    else -> println("F 학점")
}